9월 재산세 납부기간 조회, 7월과 9월 주택과 토지분 세금을 한번에 정리하는 법

 

9월은 재산세 납부

9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 주택과 토지분 세금을 한번에 정리하는 법

9월이 되면 많은 분들이 재산세 납부 알림 문자를 받고 고민에 빠집니다. 특히 7월에 냈던 세금과 무엇이 다른지, 이번에는 어떤 기준으로 부과되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2025년 9월 재산세 납부기간부터 부과기준, 7월 재산세와의 차이점까지 한눈에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2025년 9월 재산세, 정확히 언제 내야 할까? (납부기간)

재산세는 매년 2회에 걸쳐 나눠서 납부합니다.

  • 1기분: 7월 16일 ~ 7월 31일

  • 2기분: 9월 16일 ~ 9월 30일

이번 9월 재산세는 2025년의 두 번째 납부 기간에 해당하며, 9월 16일부터 30일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만약 이 기간을 놓치면 3%의 가산세가 부과되며, 추가로 매월 0.75%의 중가산금이 발생할 수 있으니 기한 내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꿀팁: 납부 마감일인 9월 30일에는 접속자가 몰려 시스템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여유 있게 9월 중순쯤 미리 납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7월 vs 9월, 무엇이 다른가요? (부과기준 및 과세 대상)

재산세는 보유 자산 종류에 따라 납부 시기가 달라집니다.

  • 7월 재산세 (1기분): 주택분 절반(50%), 건물분, 선박, 항공기

  • 9월 재산세 (2기분): 주택분 절반(50%)토지분

쉽게 말해, 7월에는 주택에 대한 세금 절반과 건물(상가, 오피스텔 등) 세금을 냅니다. 그리고 9월에는 나머지 주택분 세금 절반과 토지분 세금을 납부하게 됩니다. 이처럼 9월은 주택과 토지 두 가지 항목의 세금이 동시에 부과되는 기간입니다.

핵심 포인트:

  • 주택분 재산세: 1년 치 세금을 7월과 9월에 절반씩 나눠서 냅니다.

  • 토지분 재산세: 1년 치 세금을 9월에 한꺼번에 냅니다.


재산세는 어떻게 계산될까? (계산 방법과 세율)

재산세는 다음의 순서로 계산됩니다.

1. 과세표준 산출

공시가격(개별 공시지가)에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해 과세표준을 구합니다.

  • 과세표준 =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2. 재산세액 산출

산출된 과세표준에 해당하는 세율을 적용해 세금을 계산합니다.

  • 재산세액 = 과세표준 × 세율

💡주요 항목:

  • 공정시장가액비율: 주택은 45%, 토지 및 건물은 70%를 적용하며, 1세대 1주택자의 경우 공시가격 구간별로 43~45%의 특례 비율이 적용됩니다.

  • 세율: 주택은 0.1% ~ 0.4%, 토지는 0.2% ~ 0.5%의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1세대 1주택자에게는 낮은 세율과 공정시장가액비율이 적용되어 세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마무리하며: 절세를 위한 현명한 납부 방법

재산세 고지서에는 재산세 외에도 지방교육세(재산세의 20%)와 지역자원시설세가 함께 부과됩니다. 고지서를 꼼꼼히 확인하고 총 납부금액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산세는 금융기관 방문, 인터넷 뱅킹, 위택스(WeTax), 자동이체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위택스나 인터넷지로를 이용하면 고지서 없이도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위택스 바로가기 


9월 재산세 납부 기간을 놓치지 마시고, 오늘 정리해 드린 내용을 참고하여 현명하게 세금을 납부하시길 바랍니다.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 변화에 늘 관심을 갖는 것도 재테크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이미지alt태그 입력